개인정보취급방침
인공수정체도수측정검사기 (IOL, IOL-master)
백내장 또는 안내렌즈삽입술에서 환자에게 삽입되는 인공수정체의 도수나 렌즈 크기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비접촉식 정밀장비입니다. 비접촉식 방식으로 마취가 필요없고 감염과 각막손상의 위험이 적으며, 초정밀 컴퓨터에 의해 측정되므로 인공수정체 도수 측정이 보다 빠르고 정확합니다.
각막지형도검사기 (TOPO)
각막의 굴절력 및 3차원 각막지형도, 동공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 시력교정술 및 콘택트렌즈 처방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각막표면의 모양과 높낮이, 가파름의 정도를 측정해 원추각막, 각막변성질환, 각막이상모양, 건조증 정도를 알 수 있어 수술의 가능성과 수술방법을 결정하는데 중요합니다.
형광안저촬영기 (HRA2)
형광안저촬영술(FAG)와 인도시아닌그린 형광안저혈관조영술(ICG)를 위한 장비입니다. 망막질환 중에서도 안내 혈류순환의 이상이나 망막혈관 형태의 이상, 망막색소상피의 투과성 항진 등 안저에 발생한 비정상적인 이상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망막혈관의 80%까지 검사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혈관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놓치기 쉬운 주변부 혈관질환까지 모두 찾을 수 있어 당뇨망막병증 발견과 검사에 도움을 줍니다.
시유발전위도검사기(VEP)
시신경장애가 의심되는 질환, 각막혼탁, 백내장, 유리체혼탁 등에서 안저검사, 검안경소견이 불확실한 경우, 시력측정이 불가능한 유소아의 시기능 평가에 유용합니다. 시신경에 자극을 주었을 때 중추신경계의 반응을 기록해 황반부기능과 망막신경절세포에서 후두엽 시중추에 이르는 망막경로를 검사하는데 이용됩니다.
망막전위도검사기 (ERG)
안순응, 명순응 상태에서 망막이 광자극에 의해 전위가 변할 때 활동전위가 기록되는데 이 시간대 변동을 기록하는 검사장비입니다. 망막의 순응상태, 자극광의 강도, 색 및 지속시간 등에 의해 망막의 추체 및 간체의 반응을 분리해 낼 수 있습니다. 특히 망막색소병증을 진단하는데 가장 유용합니다.
안구전위도검사기 (EOG)
안구운동에 관한 신경계 이상을 검출해 신경안과 관련 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주는 검사장비입니다. 좌우를 교대로 보게하여 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전위변화를 기록합니다. 망막색소미만성 장애, 망막색소변성증, 베체트병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다초점 망막전위도검사기 (MERG)
망막의 장애부위의 범위와 정도를 다각적으로 측정하는 검사로 망막의 여러 부위의 국소망막전위도를 동시에 기록해 황반부 기능을 3차원적 영상으로 나타냅니다.
세극등 현미경 (Slit lamp)
고배율의 현미경이 달린 세극등 현미경으로 눈을 확대해 관찰하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검사입니다. 보통 10배율 또는 16배율로 확대하나 경우에 따라 40배까지 확대해 눈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직접 눈을 관찰해 눈꺼풀, 결막, 각막, 수정체 등의 전안부의 질병유무를 살펴보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백내장, 녹내장, 각막의 질병을 살필 수 있습니다.
비쥬캠 (Visucam)
안저촬영(F/P, Fundus photo), 시신경 섬유주 촬영(R/P, Redfree photo), 시신 경촬영(D/P, Disc photo)을 위한 검사장비입니다.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및 녹내장 질환에서 병의 진단과 진행을 관찰하는데 유용합니다. 특수 안저 카메라를 이용해 대부분의 경우 산동없이 검사가 가능합니다.
옵토맵 (Optomap)
특수 안저 카메라를 이용해 빠르고 간단하게 망막의 상태를 촬영해 눈 안쪽의 이상 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장비입니다. 산동약으로 동공을 열지 않아도 망막의 80%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보다 빠르고 편안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안구광학단층촬영기 (OCT, Cirrus-OCT)
안구생체조직의 단층영상 및 횡단면을 CT나 MRI의 10배 이상 우수한 해상도로 검사할 수 있는 획기적인 장비입니다. 눈의 망막, 맥락막 질환 등에 대한 전반적인 정밀검사가 가능하며, 시신경층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 녹내장 초기의 시신경층 약화 및 손상을 모두 감지합니다. 내장된 기준자료상 망막 위치에 맞추어 촬영하므로 과거상태와 현재상태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어 신뢰도가 높습니다.
시신경 섬유층 분석 검사 (GDx, GDx-vcc)
GDx는 편광을 이용해 시신경 유두 주변의 신경섬유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기계입니다. 시신경손상 정도와 시야검사 결과를 종합해 녹내장 진단을 내리는 기존 검사와 달리 시신경 주변의 시신경섬유층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어 초기 녹내장 진단에 유용합니다.
펜타캠 (Pentacam)
각막두께측정검사(CCT)와 수정체 촬영을 위한 장비입니다. 특히 세계유일 360˚Rotating Slit Scanning System을 이용해 각막, 전방, 수정체를 3차원으로 측정하는 첨단 정밀 전안부 단층촬영이 가능합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25,000 Elevation Point와 환자의 눈 움직임을 동시에 측정해 3차원 사진으로 묘사할 수 있습니다. 각막의 두께를 측정해 녹내장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백내장 진행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해 수술시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시력교정술 사전 검사의 경우 곡률지형도, 각막두께, 각막형태 등을 정밀 분석해 원추각막이나 비정상적 각막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고 수술 후 남게 되는 각막 두께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CCT는 녹내장과 시력교정술에 유용합니다.
시야검사기 (V/F, Visual Field)
시야는 시선을 고정했을 때 보이는 범위를 말합니다. 시야검사는 안과질환이나 중추신경계 질환의 감별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용이합니다. 특히 망막 각 부분의 시야상태 검사, 녹내장처럼 시기능 손상이 동반되는 질환의 진단 및 추적관찰에 필요합니다.
시야검사기 (FDT)
시야검사기는 망막, 시신경 혹은 뇌종양과 혈관질환의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반 도배가환영 방식을 이용해 큰세포신경절세포(My cell)를 선택적으로 분석하므로 초기 녹내장 즉 녹내장 의증을 진단하는데 유용합니다.
각막내피세포수 측정기 (SM)
각막내피세포의 상태를 살펴 눈의 이상을 감지하는 검사기기로 각막 세포 밀도, 세포크기, 세포수를 측정하는 검사로 백내장 혹은 안내렌즈삽입술 등에 필요합니다. 검사 결과상 내피세포의 수가 너무 적거나 세포의 모양과 크기가 정상과 다를 경우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안축장 초음파검사기 (A-scan)
초음파를 이용해 백내장 수술 시 사용되는 IOL도수를 측정합니다. 검사 시 기기가 눈에 직접 닿으므로 점안마취가 필요합니다. A-scan을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혼탁 등이 있을 때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IOL-master의 보조장비로 사용합니다.
안구초음파검사기 (B-scan)
안구 전방의 혼탁으로 안저 관찰이 힘들 때 초음파의 반사를 이용해 안구의 단면을 관찰합니다. 안구 내 망막, 시신경상태, 출혈, 혼탁, 박리 등의 상태를 검사합니다.
초음파 각막두께 측정기 (Pachymeter)
초음파 각막두께 측정은 각막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시력교정수술을 하기 전 각막의 두께량을 확인해 수술 가능 여부를 체크하고 안전한 수술을 가능하게 합니다.
안저 정밀검사기 (3-Mirror)
눈동자를 산동시킨 상태에서 3-mirror라는 특수렌즈를 이용해 세극등 현미경으로 주변부 망막이나 우각(눈물이 빠져나가는 구멍)등을 세밀히 검사할 수 있습니다.
골드만압평안압계 (GAT)
점안마취 후 플루오레세인 색소를 점안해 세극등 현미경으로 눈을 관찰하며 안압을 측정합니다. 안구의 변형과 가하는 외력에 의한 안압의 인공적 변동이 극히 적어 임상적으로 가장 신뢰하는 안압계로 간주합니다.
안구광학단층촬영 (S-OCT, Spectralis OCT)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안구의 단층 영상 및 횡단면을 검사합니다. 해상도가 HD급인 OCT로 해상도가 뛰어나 망막을 현미경처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눈의 움직임을 따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눈의 깜빡임에도 망막혈관 위치를 정확하게 체크해 망막상태 변화를 더욱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